
1. 급여 통장
먼저, 급여 통장은 여러분의 월급이 들어오는 통장입니다. 이 통장은 모든 돈이 들어오는 곳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합니다.
하지만 급여 통장에 모든 돈을 그대로 두는 건 좋지 않습니다. 급여 통장에서는 공과금, 통신비 같은 고정 지출만 남겨두고 나머지 금액은 다른 통장으로 나눠야 합니다.
고정 지출은 매달 나가는 돈이기 때문에 자동 납부를 설정해 두면 편리하고, 잊어버릴 걱정도 없습니다.
급여 통장에는 꼭 필요한 돈만 남겨두고, 남은 잔액은 다른 용도로 흘러가지 않게 조심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예상치 못한 지출로 돈을 낭비하는 일이 줄어듭니다.
또한, 급여 통장은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한 통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좌이체 수수료가 없는 통장을 선택하면 좋습니다.
2. 소비 통장
다음은 소비 통장입니다. 이 통장은 생활비를 관리하는 통장입니다. 급여에서 일정 금액을 소비 통장에 넣고, 한 달 동안 쓸 돈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보통 소비 통장에 넣을 금액은 급여의 30%~45%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 통장을 사용하면 한 달 동안 얼마나 돈을 썼는지 쉽게 알 수 있고, 소비 패턴을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소비 통장을 쓰면서 중요한 것은 정해진 금액 안에서 소비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입니다. 예산을 초과하지 않고 한 달을 지내면 절약 습관도 함께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소비 통장도 출금 수수료가 없는 통장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체크카드와 연계해 사용하면 지출 관리가 더 편리합니다.
3. 재테크 통장
재테크 통장은 말 그대로 돈을 불리기 위한 통장입니다. 이 통장을 통해 적금, 펀드, 주택청약, 연금 등을 관리합니다.
중요한 점은 소비하고 남은 돈을 저축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정한 금액을 저축해야 한다는 겁니다. 급여의 45% 정도를 재테크 통장에 넣고, 그 안에서 적금, 펀드, 보험, 대출 상환 등으로 나눠 관리하면 됩니다.
재테크 통장은 자동이체를 설정해 두고, 같은 날에 돈이 나가도록 하면 자금 흐름을 파악하기 쉽습니다.
또한, 재테크 통장은 쉽게 돈을 빼 쓰지 않도록 예금이나 적금 같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돈을 모으는 데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4. 예비 통장
마지막으로 예비 통장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해 만들어야 합니다.
갑자기 돈이 필요한 일이 생길 때, 적금을 깨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비상 자금이 바로 예비 통장에 있는 돈입니다. 예비 통장에 넣을 금액은 급여의 5%~10% 정도가 적당합니다.
갑자기 친구의 결혼식이나 사고로 인해 돈이 필요할 때, 예비비가 없으면 기존의 저축 계획을 망칠 수 있습니다. 예비 통장은 이런 상황에서 재무 계획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다만, 예비비를 출금할 상황을 미리 정해두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불필요한 곳에 돈을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무리하며
돈을 모으려면 통장을 쪼개서 관리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급여 통장, 소비 통장, 재테크 통장, 예비 통장 이렇게 4개의 통장을 사용해 고정 지출, 생활비, 저축, 비상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세요.
처음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습관이 들면 돈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계획적으로 현명하게 돈을 모을 수 있게 됩니다.
또한, 통장뿐 아니라 카드 혜택, 수수료 혜택 등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좋습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말처럼, 돈도 여러 통장에 나눠서 관리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율적입니다. 지금부터 통장 관리 습관을 들여 돈을 모으는 첫걸음을 시작해 보면 좋겠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부동산 금융상품 (5) | 2024.10.24 |
---|---|
부동산 금융은 개발 투자 관리 (4) | 2024.10.23 |
재테크의 작은 돈은 아끼고 투자는 과감하게-다산 적양용 (4) | 2024.10.21 |
재테크를 위한 대출 활용 (8) | 2024.10.19 |
금리 기준금리 (4) | 2024.10.18 |